티스토리 뷰

목차



    출산하면 얼마 받나요? 2025 출산지원금·첫만남이용권·아동수당까지 총정리

    출산하면 얼마 받나요? 2025 출산지원금·첫만남이용권·아동수당까지 총정리
    출산하면 얼마 받나요? 2025 출산지원금·첫만남이용권·아동수당까지 총정리

    2025년, 저출산 문제가 심각해지며 국가와 지자체는 다양한 출산 장려 혜택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출산 시 받을 수 있는 ‘현금성 지원금’은 그 규모와 종류가 꽤 많습니다. 그러나 아직도 많은 부모들이 “뭘 신청해야 하지?”, “중복으로 받을 수 있어?”라고 혼란스러워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출산 직후 받을 수 있는 대표적인 현금성 혜택들을 쉽고 정확하게 정리합니다.  지원금 종류, 금액, 신청 방법, 중복 여부까지 한눈에 확인하세요.

     

     

    🔎 함께 보면 좋은 글

    👉 출산 병원비·산후조리 비용, 국가가 얼마나 지원해줄까?

    👉 출산 후 육아지원·보육 혜택 총정리: 아동돌봄·양육비부터 보육시설 지원

     

    1. 첫만남이용권 (200만원 국민행복카드 포인트)

    첫만남이용권 (200만원 국민행복카드 포인트)

     

    가장 기본이자 핵심이 되는 출산지원금이 바로 첫만남이용권입니다. 출산한 모든 부모에게 제공되며, 200만원 상당의 포인트로 지급됩니다. * 2024.1.1일 이후 출생한 아동에 대해서는, 첫째아 200만원, 둘째아 이상 300만원 지급 

    • 지급 대상:  출생아로 출생신고 되어 주민등록번호를 부여받은 아동 (*주민등록상 생년월일로부터 2년이 초과되지 않은 출생아)
    • 사용 기간: ~ 아동 출생일(주민등록일상 생년월일)로부터 2년 (사용하지 않은 포인트 자동 소멸) 
    • 지급 방법: 1회성 지급, 신청 시 선택한 카드사의 국민행복카드에 포인트 지급 
    • 사용처: 유흥업종 사행업종, 마사지 등 위생업종, 레저업종, 성인용품, 면세점 등을 제외한 전 업종(온라인 구매 포함)에서 사용 가능 
    • 신청 방법: 복지로 또는 읍면동 주민센터

    2025년 첫만남이용권 사업안내.pdf
    2.94MB

     

     

     

    2. 출산지원금 (지자체별 상이)

    출산지원금 (지자체별 상이)

     

     

    지방자치단체는 자체 예산으로 출산 장려금을 지급하고 있습니다. 금액은 지역마다 천차만별이며, 수백만 원 이상을 지급하는 곳도 있습니다.

     

    지자체 출산지원금 지급 방식
    👉 서울 강남구 첫째 200만원 / 둘째 200만원 / 셋째 300만원 현금 1회 100% 지급
    👉 부산 동구 둘째 이후 출생아 당 100만원 
    *출산축하금 별개 지급 둘째 20만원, 셋째 이상 200만원
    현금 1회 100% 지급
    👉 대구 수성구 둘째 100만원, 셋째 이상 200만원  현금 1회 100% 지급

     

    Tip: 지역별 조건이 다르므로, 아이사랑포털 또는 거주지 시청 홈페이지에서 최신 정보를 확인하세요.

    *2025.3월 업데이트 정보 입니다. 

     

    3. 아동수당 (매월 10만원, 만 8세 미만까지)

    아동수당 (매월 10만원, 만 8세 미만까지)
    아동수당 (매월 10만원, 만 8세 미만까지)

     

     

    출산 직후부터 만 8세가 되기 전까지는 매월 10만 원의 아동수당을 받을 수 있습니다. 소득 기준 없이 모든 가정에 지급됩니다.

    2025.7월 현재 지급대상을 만 18세, 월 20만원 확대 방안 논의 중에 있으나 이는 아직 시간이 걸릴 것으로 예상됩니다. 

    • 대상: 만 0~7세 아동 (8세 생일 도달 전까지)
    • 지급 금액: 월 10만원 
    • 신청 방법: 복지로 또는 주민센터
    • 지급 방식: 보호자 계좌로 현금 지급

    아동수당서식모음.pdf
    0.18MB

     

     

    4. 부모급여 (매월 50~100만원)

    부모급여 (매월 50~100만원)
    부모급여 (매월 50~100만원)

    0~1세 영유아기 집중돌봄 지원을 위하여, 출산 및 양육에 대한 경제적 부담을 줄이기 위하여 부모 급여가 도입되었습니다. 

     

    • 대상: 2023.1.1 이후 출생한 2세 미만의 아동 (0~23개월) *2세부터는 가정양육수당 지급 
    • 지급 금액: 0세 아동 월 100만원, 1세 아동 월 50만원 
    • 신청 방법: 복지로 또는 주민센터
    • 지급 방식: 보호자 계좌로 현금 지급
    • 비고: 어린이집 이용 시, 영유아 보육료 신청 필요 (어린이집 재원 시, 보육료 전액 지원 후 부모급여 차액 현금지급)

    사회보장급여 신청(변경)서.hwp
    0.14MB

     

     

    5. 이 혜택들, 중복 가능할까?

    네, 일부 혜택은 중복 수령이 가능합니다. 아래 표를 참고하세요.

    항목 중복 가능 여부 비고
    첫만남이용권 + 아동수당 가능  
    출산지원금 + 첫만남이용권 가능  
    양육수당 + 보육료/육아학비 불가능 둘 중 하나 선택

     

    📌 출산하면 이건 꼭 챙기세요!

    출산하면 이건 꼭 챙기세요!
    출산하면 이건 꼭 챙기세요!

    • 출생신고와 동시에 첫만남이용권 신청
    • 거주지 지자체 홈페이지에서 출산지원금 및 출산축하금 확인
    • 부모급여, 아동수당, 양육수당은 복지로에서 온라인 신청
    • 혜택 중복 여부는 조건별로 꼼꼼히 체크

    지금 준비하지 않으면, 몇백만 원을 놓칠 수 있습니다. 출산은 축복이고, 지원금은 정당한 권리입니다. 정보는 곧 돈입니다!

     

     

     

    👉 출산 병원비·산후조리 비용, 국가가 얼마나 지원해줄까?

    👉 출산 후 육아지원·보육 혜택 총정리: 아동돌봄·양육비부터 보육시설 지원